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본 포스트에 있는 퀴즈는 당일에만 풀어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담 없이 구경하세요☆

Q. 건설사는 담보 없이 은행에 돈을 빌릴 수 있다?

반응형
더보기

O

건설사는 담보 없이 은행에 돈을 빌릴 수 있다.

보통 건설사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PF(Project Financing)대출을 받는 방식으로 돈을 빌려 공사를 진행한다.

PF대출은 돈을 빌려 수익이 많이 나는 사업에 투자하고, 나중에 거기서 나오는 수익금으로 빚을 갚는 방식이다.

그래서 빌리는 사람을 보는 게 아니라, 대출금을 어디에 쓰는지, 수익이 얼마나 날지를 보고 빌려주게 된다.

건설사의 PF대출은 건물을 짓기 전 담보가 없는 상태에서 건물을 짓겠다는 계획 그 자체로 돈을 빌리는 것이다.

빌리는 사람이 당장 빚갚을 능력이 없거나, 담보가 없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빌려간 사람이 망해도 투자한 사업만 잘되면 거기서 나오는 수익금으로 빚을 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땅이 없어도 돈을 빌릴 수 있다.

PF 실행 전에 잠시 돈을 빌리는 '브릿지론'이라는 것이 있다.

브릿지론 후 본 PF로 전환하는 식이다.

이렇게 담보없이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만큼, 투자할 사업이 정말 돈을 잘 벌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또 빌려간 돈으로 딴짓을 하지 않고 약속한 사업에만 투자하도록 하게 한다.

그래서 금융회사가 PF대출을 해줄 때에는 사업을 처음 계획할 때부터 빌리는 사람과 함께 검토하고, 사업진행도 일일히 점검한다고 한다.

시행사가 서류상 회사를 만들어 땅을 투자하고 은행이 여기에 돈을 빌려준다.

그리고 건설회사가 공사를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보장을 한다.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돈도 대신 갚겠다는 보증도 서준다.

은행 입장에서는 분양만 되면 대출금을 거둬갈 수 있고 나중에 아파트 담보대출도 해줄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이다.


PF대출은 사업 전망은 좋은데 그 사업을 추진할 사람의 신용이 부족할 때 유용한 방식이다.

특히 경기가 좋고,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은 많은데 지어놓은 아파트가 부족해서 가격이 치솟을 때에 효과적이다.

일단 짓기만 하면 사려는 사람이 줄을 서기 때문이다.


다만 경기가 안 좋을 때는 거꾸로 이 방식이 독이 된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2023년 말 기준 전체 135조 6,000억원으로 빠르게 불어났다.

부동산 가격은 오르는데 금리는 낮으니 건설사들이 거리낌없이 PF를 받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는 건설사 위기설이 나오게 된 것이다.

작년 말 기준 부동산 PF 연체율이 2.7%로 1년 전 1.19%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부터 PF 만기가 본격적으로 돌아오고 있고 그중 브릿지론이 58.4%를 차지하고 있다.

금리가 너무 높아 업계에 돈이 돌지 않고 있는 상태다.

그리고 원자재 값도 많이 올랐다.

대체로 매출 대비 원가율은 80%대로 유지해왔지만, 최근에는 적자를 보며 공사를 해야 하는 사업장까지 나온다고 한다.

시행사와 건설사가 돈을 갚지 못하면 돈을 빌려줬던 금융회사 입장에서도 심각해진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이 어려워지면 다른 곳에도 돈을 빌려줄 수 없게 된다.

이것이 경제악화에 일조하는 것이다.

 

 

 

 

https://link.coupang.com/a/bAgJIV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홈인테리어, 가정의 달! 카네이션&선물 SALE (~5/7)

 

[ 본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320x10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