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이 블로그 작성자가 말을 좀 편하게 합니다.
이 점 감안하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www.weather.go.kr/w/eqk-vol/recent-eqk.do
지진 정보는 이 사이트를 참고할 것

쓰나미 피해가 있을 수 있으니
특히 경상도와 강원도
거주자분들은 바닷가 근처에
가지도 말고 요주의

 


◇장소 별 대피 방법을 찾으실 때는
컨트롤 + F(Ctrl + F),
모바일이라면 쓰고 있는
검색용 어플에서
(네이버, 다음, 크롬 등)
쩜쩜쩜이나 작대기 3개를
찾아서 '페이지에서 찾기'
(대체로 이런 이름일 것임)
라는 기능을 사용하시길




지진 대피 요령


1. 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간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이다.
  •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탁자 다리를 꽉 잡고 있는다.
  • 탁자 아래로 대피할 수 없을 때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 지진이 조금 잠잠해지면 밖으로 대피한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다.

  •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지 않으면 지진 발생시 건물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화재로 인해 다량의 사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흔들림이 멈춘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한다. 문을 미리 열어놓지 않으면 지진 발생시 집이 기울어지면서 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간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반드시 신발을 신는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신발을 신고 이동한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한다.

  • 화재 발생시와 마찬가지로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고장날 수 있으므로 타지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한다.
  •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낙하물(유리, 건물 파편, 기와 등)에 주의하며,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한다.


5.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떨어진 조각에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한다.


6.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말고 걸어서 이동한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한다.

  • 대피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킨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 가짜 뉴스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한다.


장소 별 행동 요령


1. 집에 있을 때

  • 가구, 텔레비전 등 낙하물을 피해 탁자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한다.
  • 주방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스를 차단한다.
  • 욕실에서는 몸을 낮추고 목욕대야, 수건, 목욕가운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한다.


2. 학교에 있을 때

  •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한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한다.
  •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우려가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한다.


3. 고층 건물에 있을 때

  • 높은 층의 건물일수록 흔들림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4. 사무실에 있을 때

  • 사무실은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 무거운 물건들이 많아 다칠 위험이 크다.
  • 사무실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한다.


5. 백화점·마트에 있을 때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밖으로 대피한다.
  •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면, 손잡이를 잡고 앉아서 버틴 후 침착하게 벗어난다.


6. 극장·경기장에 있을 때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잠시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는다.
  •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안내에 따라 대피한다.


7.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한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한다.
  •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한다.


8. 자동차를 타고 있을 때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 중앙을 비워둔다.
  •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 할 때에는 열쇠를 꽂거나 놓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한다.
  • 낙석이나 터널, 교량 등의 도로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에 주의한다.


9. 전철을 타고 있을 때

  • 전철 안의 손잡이나 기둥, 선반을 꼭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 전철이 멈췄다고 해서 서둘러 출구로 뛰어가는 것은 위험하므로 안내에 따라 행동한다.


10.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 돌·바위가 굴러 내려오거나 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한다.
  •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곳으로 신속히 대피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지진이 일어났을 때는
침착해야 한다고 한다.

 

 

대피 내용은 나무위키에서 보고 썼지만(...) 

모두 무탈하게 보자 '3'/ 

 



[ 본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320x100
LIST
댓글